<h1>[EOS Inside] 탈중앙화된 토큰 스왑 프로토콜 YOLO!</h1><br />

<center><sup></sup></center><br />
안녕하세요, 이오시스 서포터즈 디온(@donekim)입니다. 오늘은 <strong>EOS 메인넷에서 디지털 애셋(Digital Asset) 토큰들을 즉석에서 아주 간단하게 탈중앙화된 방식으로 교환할 수 있는 스왑 프로토콜 욜로(YOLO)</strong>를 소개합니다.<br />
<br />
<center></center>
<h3># 욜로(YOLO)란 무엇인가?</h3><br />
<center></center>
<center><sup>Image Source : [Hello, YOLO](https://medium.com/hello-yolo/hello-yolo-fb372fb47c8e)</sup></center><br />
> YOLO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원문](https://medium.com/hello-yolo/hello-yolo-fb372fb47c8e)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br />
<br />
YOLO는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You Only Live Once가 아니라 <strong>Your Original Liquidity Optimizer</strong>의 약자로 <strong>“암호화폐 거래 초심자부터 트레이딩 경력이 오래된 선수급의 투자자들까지 모두 편하고 간편하게 탈중앙화된 방식으로 토큰들을 변환할 수 있는 플랫폼”</strong>을 의미합니다.<br />
> 맨 처음에 YOLO라고 하길래 You Only Live Once처럼 “인생 뭐 있어? 그냥 전부 걸어봐!” 이런 식의 겜블링 플랫폼인줄 알았네요…<br />
<br />
<strong>YOLO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 실전 테스트된 탈중앙화거래소 카이버 네트워크(Kyber Network)의 유동성 프로토콜을 EOS 블록체인으로 가져온 것</strong>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br />
우선은 <strong>일차적으로 EOS 네이티브 토큰과 EOS 메인넷 상의 디앱 토큰들 간의 즉각적인 교환(스왑) 기능을 제공</strong>하고, 더 나아가서는 <strong>이더리움 블록체인 기반의 ERC-20토큰들과의 교환 기능까지도 제공하려는 목표</strong>를 가지고 있습니다.<br />
<br />
<center></center>
<h3># 중앙화된 거래소 vs 탈중앙화된 거래소</h3><br />
현재 우리들이 이용하고 있는 중앙화된 거래소들은 거래자들의 오더북(매수가격과 매도가격) 간의 간극을 줄이기 위해 마켓 메이커와 차익거래 봇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매수자들과 매도자들의 잦은 거래가 이뤄지게 됩니다.<br />
그러나 탈<strong>중앙화된 거래소(DEX)에서는 별도의 마켓메이커 없이 토큰 홀더 개인들이 직접 입력한 가격에 따라 거래가 이뤄지기 때문에 오더북에 올라와 있는 거래량이 매우 적은 편이고, 매수가격과 매도가격 간의 갭이 매우 큰 편</strong>입니다.<br />
<strong>YOLO는 카이버의 온체인 유동성 프로토콜을 활용해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strong>로 합니다. YOLO는 Price discovery model을 이용하여 최적의 교환 비율을 찾아내고 즉시 토큰들의 교환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합니다. 인텔리전트 마켓 메이킹 알고리즘은 사용자들이 원하는 토큰에 대해서 합리적이고 매력적인 가격을 보장합니다.<br />
<br />
<center></center>
<h3># 정말 간편하고 합리적인 교환비율일까?</h3><br />
<center></center>
<center><sup></sup></center><br />
이미 뱅코르(Bancor)에 대해서 알고 계신 분들도 있겠지만, 사용자의 입장에서 YOLO는 뱅코르와 매우 흡사합니다<br />
> A라는 토큰이 B로 변환되는 과정에서의 프로토콜의 아키텍처나 중간 매개체, 알고리즘 등 복잡한 내용들은 논외로 했을 때는 말이죠<br />
<br />
사용방법도 매우 간단합니다. 유저들은 사이트 접속 후 스캐터 데스크탑으로 로그인을 하고, 변환을 원하는 토큰을 선택한 뒤 Swap Now 버튼만 클릭하고 트랜잭션을 승인하면 됩니다.<br />
<center></center>
<center><sup></sup></center><br />
현재 YOLO는 아직 테스트 단계로 현재는 EOSREX처럼 정글 테스트넷에서 체험을 해볼 수 있습니다.<br />
- 사이트 주소 : [https://jungle.yoloswap.com/](https://jungle.yoloswap.com/)
<br />
<center></center>
<center><sup></sup></center><br />
상단의 Sign in 버튼 클릭 후 스캐터 데스크탑 팝업창이 나타나면, 해당 계정을 클릭하여 로그인만 하시면 됩니다. (물론 현재는 정글 테스트넷 계정이 있어야 합니다)<br />
<center></center>
<center><sup></sup></center><br />
<strong>로그인이 완료되고 나면 교환하고자 하는 토큰들을 선택한 뒤, 원하는 교환 수량을 입력하고 Swap Now버튼을 클릭</strong>합니다.<br />
> 현재 KARMA토큰의 경우에는 EOS 1개 당 7677.84489개 정도의 비율로 교환이 되네요.<br />
<br />
<center></center>
<center><sup></sup></center><br />
이런 식으로 해당 트랜잭션을 승인하면, 내 계정에서 yolonetw1121이라는 계정으로 EOS토큰이 전송되고, yolorese1221이라는 계정으로부터 해당 교환비율에 맞춰 KARMA토큰이 곧바로 내 계정으로 들어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br />
<center></center>
<center><sup></sup></center><br />
> 일단 설명과는 달리 테스트넷 상에서의 교환비율은 거의 절반 수준밖에 안되는 것으로 나타나서 조금 당황했습니다.<br />
<br />
결국 뱅코르도 그렇고, 욜로도 그렇고 <strong>내 계정에서 굉장히 쉽고 간단하게 토큰들을 교환할 수 있고 매수가와 매도가의 갭에 대해서 크게 신경 쓸 필요가 없다는 장점</strong>이 있습니다.<br />
그러나 문제는 역시 <strong>중앙화된 거래소에 비해 교환되는 비율이 매우 불리하게 적용된다는 점</strong>(이는 뱅코르든 카이버든 동일합니다), 그리고 YOLO의 경우 적당한 수량을 리저브에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대량의 토큰을 교환하려고 하면 작동하지 않는다는 고질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br />
<br />
<center></center>
중앙화된 거래소의 취약한 보안 문제, 또는 거래소의 급작스런 폐업이나 내부 직원 횡령 등의 문제, 상장 거래소가 없는 경우 원활한 토큰의 유동성 공급이 어렵다는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습니다.<br />
하지만 결국 이<strong>런 디지털 애셋 리퀴디티 프로토콜들의 교환 비율이 지금과 같이 중앙화된 거래소의 시장 균형가격 보다 턱없이 불리하다면, 아주 급한 상황에서 소량의 토큰 구매를 하는 경우 이외에는 실질적인 거래들이 이뤄지기에는 한계</strong>가 있지 않나 싶습니다.<br />
플랫폼이 원활하게 잘 작동하는 것과는 별개로 <strong>“과연 YOLO는 얼마나 최적화된 교환 비율을 제공함으로서 플랫폼의 유용성을 높일 수 있을지”</strong>가 궁금해집니다.<br />
<center><img src='https://i.imgur.com/SAXfzqa.png' /></center><br />
본 포스팅은 미디엄에서 쉐어투스팀(@share2steem)을 통해 작성되었습니다.
<center><sup>Posted from <a href='https://medium.com/@donekim/eos-inside-탈중앙화된-토큰-스왑-프로토콜-yolo-635a317b5b78'>Medium</a> via <a href='https://share2steem.io/?ref=donekim'>Share2Steem</a></sup></center>
> **[쉐어투스팀(Share2steem)이란?]**
> 쉐어투스팀은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 등 스티밋의 계정과 연결된 다른 SNS의 글이나 영상, 사진 등의 포스팅을 스티밋 피드로 업로드할 수 있는 써드파티앱니다. 사전에 쉐어투스팀을 통해 다른 SNS채널의 계정을 연결시켜 놓은 상태라면, 언제든지 간단한 해시태그 입력만으로 다른 SNS에 업로드한 글을 그 즉시 스티밋에도 업로드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배너를 클릭하시면 쉐어투스팀을 통해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에 업로드한 콘텐츠들을 스티밋에 함께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center><a href='https://share2steem.io/?ref=donekim'><img src='https://steemitimages.com/640x0/https://cdn.steemitimages.com/DQmQzyrdWXdbzg4hPf1GdAyFxa7DWKDsCKejdB2DXFZdNbX/IMG_9388.JPG'></a></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