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1>[EOS Basic] 투표참여 및 토큰 전송방법</h1><br />
<center></center>
<center><sup></sup></center><br />
안녕하세요, 디온입니다. 지난 5월 16일에 이오스 메인넷 제네시스 계정 키 분실자들을 위한 분실 키 복구 솔루션이 출시된 이후 이제 한 달이 되어가고 있네요. 오늘은 계정 복구에 성공하신 분들을 위해 투표참여 및 토큰 전송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br />
<h1>#1. 스캐터 데스크탑 로그인하기</h1><br />
<center></center>
<center><sup></sup></center><br />
① 스캐터 데스크탑을 실행해서 <strong>기존에 입력한 비밀번호를 입력한 뒤 로그인</strong>을 해주세요<br />
> <strong>[참고사항]</strong><br /><br />
> 혹시라도 스캐터 데스크탑 비밀번호가 기억나지 않으시거나 아직 스캐터 데스크탑이 없으신 분들은 [스캐터 데스크탑 사용가이드(v10.1.2)](https://medium.com/@donekim/eos-basic-%EC%8A%A4%EC%BA%90%ED%84%B0-%EB%8D%B0%EC%8A%A4%ED%81%AC%ED%83%91-%EC%82%AC%EC%9A%A9%EA%B0%80%EC%9D%B4%EB%93%9C-v10-1-2-ae739945a25)를 참고해주세요!<br />
<br />
<center></center>
<center><sup></sup></center><br />
② 로그인이 완료되셨으면, <strong>기존에 저장해놓은 계정정보를 클릭</strong>해주세요<br />
<center></center>
<center><sup></sup></center><br />
③ 그러면 위와 같이 Linked Accounts라는 탭이 보이실겁니다. 어떤 분들은 바로 계정이 연결되는 걸로 보이실 수도 있고, 다른 분들은 위와 같이 EOS계정 정보가 나타나지 않으실 겁니다.<br />
<center></center>
<center><sup></sup></center><br />
④ <strong>상단에 보이는 [Refresh] 탭을 클릭</strong>해주세요. 기존에는 내 이오스 계정이 연결된 정보가 나타나지 않는 것이 당연한 거지만, <strong>키쌍이 연결되면 내 계정정보가 위와 같이 EOSIO — EOS Mainnet이라고 하여 나타나게 됩니다.</strong><br />
<center></center>
<center><sup></sup></center><br />
⑤ 위에서 계정이 제대로 연결되는 것이 확인되었다면, 이오스 메인넷의 지갑 사이트( [https://bloks.io](https://bloks.io/wallet))에 접속해주세요.<br />
<strong>상단에 보이는 [Login]버튼을 클릭</strong>하면 위와 같이 제일 왼쪽에 스캐터 로고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해당 아이콘을 클릭해주세요.<br />
<center></center>
<center><sup></sup></center><br />
⑤ 계정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었으면 위와 같이 스캐터 데스크탑의 팝업창이 나타나며 내 계정 12자리의 이름이 보이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strong>여기서 [Login]버튼을 클릭</strong>해 주세요.<br />
<center></center>
<center><sup></sup></center><br />
⑥ 위와 같이 <strong>우측 상단에 내 계정이름이 나타나면 정상적으로 로그인이 완료된 것</strong>입니다.<br />
<br />
<center></center>
<h1>#2. 투표 참여하기</h1><br />
그 다음으로는 BP투표에 참여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br />
<center></center>
<center><sup></sup></center><br />
방금 전에 접속했던 사이트([https://bloks.io](https://bloks.io/vote))에서 <strong>[Vote]탭을 클릭</strong>해주세요<br />
<center></center>
<center><sup></sup></center><br />
위와 같이 BP후보들의 리스트가 나오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strong>여기서 내가 투표하고자 하는 BP들을 고르시고 투표</strong>를 하시면 됩니다.<br />
<h3>(1) 프록시 투표 설정하기</h3><br />
아무래도 처음 투표에 참여하는게 막막하시거나 어렵게 느껴지시는 분들이 있으실 수 있기 때문에 <strong>먼저 프록시투표(위임투표)에 참여하는 방법부터 설명</strong>드리겠습니다.<br />
> 물론 투표에 직접 참여하는 것은 토큰 홀더의 고유권한이므로 그 다음 설명을 참고로 하시어 직접 투표에 참여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만, 아무래도 어떤 BP들에게 투표를 해야할지 막막하실 수 있는 분들을 위해 준비했습니다.<br />
<br />
아래의 설명은 <strong>제가 운영 중인 프록시 계정에 투표권을 위임해주시는 방법</strong>입니다. 제 프록시 계정에서는 <strong>이번에 제네시스 계정 키 분실자들을 위한 복구솔루션 개발 및 커뮤니티 서포트에 참여한 BP들(EOS Authority, EOS DAC, EOS Nation, Liberty Block, EOS42)은 모두 포함</strong>이 되어 있으며, 그 외에는 EOS메인넷 관련 툴킷, 월렛 등의 서비스를 개발하였거나 커뮤니티를 위한 교육자료를 주기적으로 제공하는 BP, 그리고 거버넌스 활동에 적극참여하거나 풀노드를 운영하는 BP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br />
<center></center>
<center><sup>[https://eosflare.io/](https://eosflare.io/tx/B8608025B1D3C68E739C8408763E12A5AE6771840AF35655495A275648E7BD26)</sup></center><br />
> <strong>[참고사항] 프록시투표란?</strong><br /><br />
> EOS 메인넷에 계정을 소유하고 있는 EOS 토큰 홀더라면 누구든지 토큰 스테이킹(또는 REX전환)을 통해 블록프로듀서(BPs) 후보들에게 직접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br /><br />
> 다만, BP 후보들의 생태계 기여도나 활동 등을 계속해서 확인하며 투표현황을 업데이트 하거나 투표 가중치 감소(Vote Decay)를 방지하기 위해 지속적인 갱신이 어려운 토큰 홀더들을 위한 <strong>위임투표 방식이 바로 프록시(Proxy)</strong>입니다.<br /><br />
> 사실 블록체인이나 이오스 관련 생태계 업무 종사자, 또는 굉장히 많은 관심과 지식을 가지고 생태계의 움직임을 파악하는 토큰 홀더가 아닌 이상 BP 모니터링, 투표 업데이트 및 갱신을 지속적으로 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보니 많이들 이용하시는 시스템입니다.<br /><br />
> <strong>프록시계정은 토큰 홀더들이 자신의 계정에 스테이킹 중인 EOS 토큰의 수량만큼의 투표 가중치를 위임 받아 대리 투표를 시행</strong>합니다.<br /><br />
> 물론, 스테이킹된 수량 만큼의 <strong>BP투표권만 위임받는 것</strong>이므로 실제로 토큰을 다른 계정으로 전송하거나 빌려주는 것은 아니니 안심하셔도 됩니다. 더불어 프록시 설정은 언제든지 자유롭게 취소/변경이 가능합니다 :)<br />
<br />
<center></center>
<center><sup></sup></center><br />
① 상단에 보이는 <strong>Proxies탭을 클릭</strong>해주세요<br />
<center></center>
<center><sup></sup></center><br />
②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면 <strong>검색창에 proxies.info 를 입력</strong>하신 뒤에 <strong>파란색으로 된 [SET proxies.info AS PROXY]버튼을 클릭</strong>해주세요<br />
<center></center>
<center><sup></sup></center><br />
조금 더 확대해서 보시면 위와 같습니다.<br />
<center></center>
<center><sup></sup></center><br />
③ <strong>스캐터 팝업창이 나타나면 [Allow]버튼을 클릭</strong>해주세요. 여기까지 하시면 투표참여가 완료된 것입니다.<br />
<h3>(2) 직접 투표하기</h3><br />
만약 직접 투표에 참여하고자 하시는 분들께서는 다음의 방법대로 투표에 참여하시면 됩니다.<br />
<center></center>
<center><sup></sup></center><br />
① 방금 전의 사이트( [https://bloks.io/vote](https://bloks.io/vote))에서 투표하고자 하는 BP들을 선택해주세요<br />
<center></center>
<center><sup></sup></center><br />
② 위와 같이 <strong>투표하고자 하는 BP들의 명단 앞에 있는 체크박스를 클릭해서 선택</strong>하시면 됩니다.<br />
<center></center>
<center><sup></sup></center><br />
> 참고로 키 분실자들을 위한 복구솔루션 개발에 참여한 BP와 Sean님께서 소속되어 있으신 BP들의 명단은 위와 같습니다.<br />
<br />
③ 선택이 모두 완료되셨으면 위의 화면에서 <strong>파란색으로 된 [VOTE]탭을 클릭</strong>해주세요<br />
<center></center>
<center><sup></sup></center><br />
④ 위와 같이 <strong>스캐터 팝업창이 나타나면 [Allow] 버튼을 클릭</strong>해주세요. 여기까지 하시면 투표참여가 완료된 것입니다.<br />
<br />
<center></center>
<h1>#3. 토큰 전송하기</h1><br />
그 다음으로는 많은 분들께서 제일 궁금해하실 토큰 전송 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br />
<center></center>
<center><sup></sup></center><br />
현재 여러분들의 계정은 위와 같이 <strong>약 10개의 EOS를 제외하고는 모두 스테이킹이 되어 있는 상태</strong>입니다. 예를 들어서 내 계정에 910개의 EOS를 보유 중이었다면, 10개만 즉시 전송이 가능한 상태이고 나머지 900개는 각각 CPU에 450개, NET에 450개가 자동으로 스테이킹이 되어 있기 때문에 <strong>언스테이킹을 신청하시고 3일(72시간)이 지나야만 전송 가능한 상태</strong>로 바뀌게 됩니다.<br />
<h3>(1) 언스테이킹 방법</h3><br />
<center></center>
<center><sup></sup></center><br />
① 지갑 사이트( [https://bloks.io/wallet](https://bloks.io/wallet))에 접속하신 뒤에 <strong>좌측에 보이는 [Unstake CPU/NET]메뉴를 클릭</strong>해주세요<br />
<center></center>
<center><sup></sup></center><br />
② <strong>[Same as holder (unstake CPU/NET from self)]를 클릭</strong>해주세요<br />
<center></center>
<center><sup></sup></center><br />
③ 위와 같이 내 계정명이 자동으로 들어가면, <strong>CPU와 NET에서 언스테이킹하고자 하는 수량을 입력</strong>한 뒤에 밑에 보이는 <strong>파란색 버튼을 클릭</strong>해주세요<br />
<center></center>
<center><sup></sup></center><br />
④ 위와 같이 팝업창이 나타나면, CPU와 NET에서 언스테이킹하려는 수량이 정확한지 다시 한 번 확인하시고 <strong>[Allow] 버튼을 클릭</strong>해주세요<br />
이 작업을 모두 완료하셨으면, <strong>72시간 뒤에 Available로 EOS가 바뀌게 되고 그 때부터 거래소나 다른 계정으로 옮기실 수 있습니다.</strong><br />
> <strong>[참고사항] 72시간 이후에도 Available 상태가 되지 않는 경우</strong><br />
<br />
<center></center>
<center><sup>[https://bloks.io/wallet/manual-refund](https://bloks.io/wallet/manual-refund)</sup></center><br />
가끔가다 72시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Available 상태로 전환되지 않고 계속 Refunding상태로 남아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는 당황하지 마시고 다음과 같이 하시면 됩니다.<br />
① [https://bloks.io/wallet](https://bloks.io/wallet) 접속 후 Manuial refund클릭<br />
<center></center>
<center><sup></sup></center><br />
② Refund버튼 클릭<br />
<center></center>
<center><sup></sup></center><br />
③ Allow 버튼 클릭<br />
이 방법에 따라 진행하시면 계속 Refunding 상태에 있던 EOS가 곧바로 Available 상태로 바뀌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br />
<h3>(2) 토큰 전송방법</h3><br />
이오스 메인넷에서 토큰 전송방법은 굉장히 직관적이고 간단하지만, 많은 분들이 기존 이더리움 블록체인에 익숙해져 있으셔서 어려움을 겪으시는 것 같습니다.<br />
간단하게 설명드리면, 다음과 같이 구분을 하시면 됩니다.<br />
<h3><strong>① 개인 계정으로 전송 : 메모가 필요없음 (메모는 말 그대로 메모!)</strong></h3><br />
<h3><strong>② 거래소 계정으로 전송 : 반드시 메모를 입력해야 함</strong></h3><br />
> 간단하지만 은근히 실수를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혹시라도 모를 사고를 대비해서 <strong>반드시 소량의 EOS를 테스트로 먼저 보내보시고, 그 다음에 보내고 싶은 수량만큼을 전송</strong>하시기 바랍니다<br />
<br />
<h3><strong>(가) 개인 계정으로 전송하는 경우</strong></h3><br />
<center></center>
<center><sup></sup></center><br />
① [https://bloks.io/wallet](https://bloks.io/wallet) 에 접속하시면 위와 같이 곧바로 토큰 전송 메뉴가 나옵니다<br />
<center></center>
<center><sup></sup></center><br />
② 여기서 다음과 같이 입력을 하시면 됩니다<br />
- Send To : 보내고자 하는 계정<br />
- Amount : 보내고자 하는 수량<br />
- Memo : 하고 싶은 말 아무거나 남기기 (안써도 무방)
<br />
예를 들어 위에 입력되어 있는 steemdonekim은 제 개인계정입니다. 여기에 10 EOS를 보내고자 하는 경우에는<br />
- Send To : steemdonekim<br />
- Amount : 10<br />
- Memo : 하고싶은 말
<br />
이런식으로 메모는 자유롭게 하고 싶은 말을 쓰시면 됩니다.<br />
<h3>(나) 거래소로 전송하는 경우</h3><br />
거래소에서 이오스 입금주소를 발급받게 되면 <strong>“12자리 계정”</strong>과 함께 복잡한(마치 이더리움 주소 같은) 문구를 받게 되는데 이 <strong>복잡한 문구를 반드시 메모란에 넣어주어야 합니다.</strong><br />
예를 들어 업비트로 전송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br />
<center></center>
<center><sup></sup></center><br />
- Send To : eosusrwallet<br />
- Amount : 보내고자 하는 수량 입력<br />
- <strong>Memo : 입금주소 발급시 받은 복잡한 메모 입력 (필수!)</strong>
<br />
<center></center>
<center><sup></sup></center><br />
① 메모를 정확히 입력했는지 확인이 완료되셨으면 파란색 버튼을 클릭!<br />
<center></center>
<center><sup></sup></center><br />
② 스캐터 팝업창이 나타나면 <strong>다시 한 번 입금계정주소(12자리)와 메모가 정확한지를 확인</strong>해주세요<br />
<center></center>
<center><sup></sup></center><br />
③ 확인 후 이상이 없으면 <strong>[Allow] 버튼 클릭</strong><br />
여기까지가 기본적인 내용들입니다. 정말 오랜시간 동안 기다리셔서 소중한 자산을 다시 되찾으신 것을 다시 한 번 축하드리고, 개인 메시지를 통해 자발적 기부 의사를 밝혀주신 분들께 감사하다는 말씀드립니다. 기꺼이 감사한 마음으로 받도록 하겠습니다.<br />
혹시라도 지금까지 제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의 계정으로 기부 및 후원을 부탁드립니다. 1 EOS도 좋고, 10 EOS도 좋습니다. 수량이 얼마이든 정말 감사한 마음으로 받겠습니다. 전송테스트도 하실겸 후원을 해주신다면, 앞으로의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많은 도움이 되어주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br />
- 계정명: steemdonekim<br />
- [1편] : [분실키 복구솔루션 신청방법 가이드 1편 (메타마스크)](https://medium.com/@donekim/eos-inside-%EB%B6%84%EC%8B%A4%ED%82%A4-%EB%B3%B5%EA%B5%AC%EC%86%94%EB%A3%A8%EC%85%98-%EC%8B%A0%EC%B2%AD%EB%B0%A9%EB%B2%95-%EA%B0%80%EC%9D%B4%EB%93%9C-1-f5570ea6b209)<br />
- [2편] : [분실키 복구솔루션 신청방법 가이드 2편 (대체서명)](https://medium.com/@donekim/eos-inside-%EB%B6%84%EC%8B%A4%ED%82%A4-%EB%B3%B5%EA%B5%AC%EC%86%94%EB%A3%A8%EC%85%98-%EC%8B%A0%EC%B2%AD%EB%B0%A9%EB%B2%95-%EA%B0%80%EC%9D%B4%EB%93%9C-2%ED%8E%B8-%EB%8C%80%EC%B2%B4%EC%84%9C%EB%AA%85-7c8bac36473)<br />
- [3편] : [분실키 복구 솔루션 신청방법 가이드 3편 (주요Q&A)](https://medium.com/@donekim/eos-inside-%EB%B6%84%EC%8B%A4%ED%82%A4-%EB%B3%B5%EA%B5%AC-%EC%86%94%EB%A3%A8%EC%85%98-%EC%8B%A0%EC%B2%AD%EB%B0%A9%EB%B2%95-%EA%B0%80%EC%9D%B4%EB%93%9C-3%ED%8E%B8-%EC%A3%BC%EC%9A%94q-a-5793efa27dc6)<br />
<center><img src='https://i.imgur.com/SAXfzqa.png' /></center><br />
본 포스팅은 미디엄에서 쉐어투스팀(@share2steem)을 통해 작성되었습니다.
<center><sup>Posted from <a href='https://medium.com/@donekim/eos-basic-투표참여-및-토큰-전송방법-1502bde1735a'>Medium</a> via <a href='https://share2steem.io/?ref=donekim'>Share2Steem</a></sup></center>
> **[쉐어투스팀(Share2steem)이란?]**
> 쉐어투스팀은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 등 스티밋의 계정과 연결된 다른 SNS의 글이나 영상, 사진 등의 포스팅을 스티밋 피드로 업로드할 수 있는 써드파티앱니다. 사전에 쉐어투스팀을 통해 다른 SNS채널의 계정을 연결시켜 놓은 상태라면, 언제든지 간단한 해시태그 입력만으로 다른 SNS에 업로드한 글을 그 즉시 스티밋에도 업로드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배너를 클릭하시면 쉐어투스팀을 통해 트위터, 인스타그램, 미디엄, 유튜브, 트위치에 업로드한 콘텐츠들을 스티밋에 함께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center><a href='https://share2steem.io/?ref=donekim'><img src='https://steemitimages.com/640x0/https://cdn.steemitimages.com/DQmQzyrdWXdbzg4hPf1GdAyFxa7DWKDsCKejdB2DXFZdNbX/IMG_9388.JPG'></a></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