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nter> </center> 모든 사회의 시스템에서 불만은 존재하기 마련이다. 자본주의 시스템의 불만은 자본을 가진 자와 노동력을 제공하는 자의 분배 정의에서 출발한다. 자본가는 리스크를 감수한 것을, 노동자는 실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한 것을 근거로 자신의 가치가 높다고 주장한다. 토큰 이코노미는 이와 같은 구조에 참여자의 기여를 추가했다. 참여자는 큐레이팅 형태로 기여를 하고 가치를 분배받는다. 여기에 증인 시스템을 더해지면서 이해관계 구조는 더욱 복잡해진다. 여기에 시세 차익을 노리고 들어온 투자자와 가치 상승을 기다리며, 큐레이팅에 집중하는 투자자로 구분해본다면 복잡도는 더욱 커진다. 서로 다른 이익 구조가 양립할 수 없기 때문에 다른 상대를 설득할 수 없다. 이는 토큰 이코노미가 인센티브를 기준으로 움직이기 때문이고, 투자자의 입장, 저작자의 입장, 큐레이터의 입장 모두 일정 수준의 합의에 다다르기 힘들게 만든다. 정해진 파이를 두고 이를 분배해야 하는 근원적인 제약이 합의를 가로막는다. 인센티브로 분배의 논리를 다룰 수 없기 때문에 페널티 부과와 같은 처벌을 가하자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대부분의 처벌 방향은 투자자의 어뷰징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흐른다. 이와 같은 논리는 자본주의 불평등에 대한 트라우마에서 기인한다고 생각한다. 강남의 건물주가 금수저로 태어났다는 이유로 한달에 수억원으 수익을 올리는 것을 우리는 자주 목격했기 때문이다. 점하나 찍고 보상을 가져가는 사람은 소통을 하지 않는다. 건물주의 입장이 신문에 대서특필 되는 일은 없는 것과 비슷한 원리이다. 증인에 대한 논란 또한 이와 비슷한 경험에서 출발한다. 증인은 현재 컴퓨팅 자원을 제공해 기여를 하고 있는데, 권력의 사유화 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은 오래되지 않은 경험에 서 나온다. 사회의 플랫폼을 지배 하는 대기업과 포털의 책임을 묻는 현재의 사회적인 움직임과 닿아 있다. 민주주의는 항상 시끄럽다. 다양한 이익 집단의 목소리가 있고, 그 안에서 조화될 수 있는 평형점을 찾아가기 위해 노력한다. 이익 구조의 완벽한 평형은 없고 계속 움직인다. 이와 같은 논쟁이 계속 되고 이슈화되고 있다는 점은 앞으로 더 발전이 가능하다는 점을 의미한다고 본다. 물론 누군가가 힘으로 독재로 나아간다면 자정 작용이 일어나기 전에 가라앉을 수도 있지만..
author | learntorun |
---|---|
permlink | 5eiaf8 |
category | coinkorea |
json_metadata | {"tags":["coinkorea","kr","jjangjjangman","steemit"],"app":"steemit/0.1","format":"markdown","image":["https://steemitimages.com/DQmTsGKJZhBbKnpfNTgEP2oh1VaqELUSRs17JnCCLnMuZgn/U5duDaGDgi3f2emcWJmKEEs5eZLpHqz_1680x8400.jpeg"]} |
created | 2018-03-25 03:51:12 |
last_update | 2018-03-26 13:10:54 |
depth | 0 |
children | 4 |
last_payout | 2018-04-01 03:51:12 |
cashout_time | 1969-12-31 23:59:59 |
total_payout_value | 1.716 HBD |
curator_payout_value | 0.356 HBD |
pending_payout_value | 0.000 HBD |
promoted | 0.000 HBD |
body_length | 1,323 |
author_reputation | 317,544,809,155 |
root_title | "스팀잇 최근 논란에 대한 생각 - 자본주의 불평등에 대한 트라우마" |
beneficiaries | [] |
max_accepted_payout | 1,000,000.000 HBD |
percent_hbd | 10,000 |
post_id | 46,436,058 |
net_rshares | 802,136,231,677 |
author_curate_reward | "" |
voter | weight | wgt% | rshares | pct | time |
---|---|---|---|---|---|
ubg | 0 | 204,938,046 | 1% | ||
goldenman | 0 | 266,043,065,656 | 50% | ||
virus707 | 0 | 81,627,853,014 | 1% | ||
dreamya | 0 | 5,363,663,138 | 5% | ||
kimthewriter | 0 | 244,684,719,367 | 12% | ||
ssin | 0 | 84,562,582,824 | 10% | ||
learntorun | 0 | 114,158,112,328 | 100% | ||
maanya | 0 | 5,491,297,304 | 100% |
항상 지금이 최고점이 아닌가 하는 불안도, 이게 저점이라고 생각하는 희망도 공존하는 것도 다양한 목소리가 있기 때문이겠죠? 저도 앞으로 어떻게 될지 궁금합니다!
author | maanya |
---|---|
permlink | re-learntorun-5eiaf8-20180326t161723216z |
category | coinkorea |
json_metadata | {"tags":["coinkorea"],"app":"steemit/0.1"} |
created | 2018-03-26 16:17:24 |
last_update | 2018-03-26 16:17:24 |
depth | 1 |
children | 1 |
last_payout | 2018-04-02 16:17:24 |
cashout_time | 1969-12-31 23:59:59 |
total_payout_value | 0.000 HBD |
curator_payout_value | 0.000 HBD |
pending_payout_value | 0.000 HBD |
promoted | 0.000 HBD |
body_length | 89 |
author_reputation | 2,009,966,708,568 |
root_title | "스팀잇 최근 논란에 대한 생각 - 자본주의 불평등에 대한 트라우마" |
beneficiaries | [] |
max_accepted_payout | 1,000,000.000 HBD |
percent_hbd | 10,000 |
post_id | 46,725,302 |
net_rshares | 0 |
모바일 초창기 생각해보면, 앱개발자들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시점은 이미 메인 스트림 단계를 넘어서 있었던 것 같아요.. 이제 슬슬 블록체인 개발자들이 늘어가는 단계 정도니 ^^ 저점이라고 행복회로 돌려 봅니다..
author | learntorun |
---|---|
permlink | re-maanya-re-learntorun-5eiaf8-20180327t010210008z |
category | coinkorea |
json_metadata | {"tags":["coinkorea"],"app":"steemit/0.1"} |
created | 2018-03-27 01:02:24 |
last_update | 2018-03-27 01:02:24 |
depth | 2 |
children | 0 |
last_payout | 2018-04-03 01:02:24 |
cashout_time | 1969-12-31 23:59:59 |
total_payout_value | 0.000 HBD |
curator_payout_value | 0.000 HBD |
pending_payout_value | 0.000 HBD |
promoted | 0.000 HBD |
body_length | 119 |
author_reputation | 317,544,809,155 |
root_title | "스팀잇 최근 논란에 대한 생각 - 자본주의 불평등에 대한 트라우마" |
beneficiaries | [] |
max_accepted_payout | 1,000,000.000 HBD |
percent_hbd | 10,000 |
post_id | 46,797,124 |
net_rshares | 0 |
좋은 글 감사히 잘 보았습니다^^ 스티밋을 경험하면 할수록 사회와 닮아있다 생각이 드네요. 많은 분들이 건강한 스티밋을 위해 힘써주시고 새로 유입되는 분들이 정착할 수 있게 도움주시는 분들을 통해 가능성을 느끼네요. 한 가지 걱정은 kr 커뮤니티만의 노력을 통해 스티밋이 바뀔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남네요. 한국유저만 있는게 아니니까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author | ssin |
---|---|
permlink | re-learntorun-5eiaf8-20180326t074831636z |
category | coinkorea |
json_metadata | {"tags":["coinkorea"],"app":"steemit/0.1"} |
created | 2018-03-26 07:48:33 |
last_update | 2018-03-26 07:48:33 |
depth | 1 |
children | 1 |
last_payout | 2018-04-02 07:48:33 |
cashout_time | 1969-12-31 23:59:59 |
total_payout_value | 0.000 HBD |
curator_payout_value | 0.000 HBD |
pending_payout_value | 0.000 HBD |
promoted | 0.000 HBD |
body_length | 204 |
author_reputation | 24,097,466,241,185 |
root_title | "스팀잇 최근 논란에 대한 생각 - 자본주의 불평등에 대한 트라우마" |
beneficiaries | [] |
max_accepted_payout | 1,000,000.000 HBD |
percent_hbd | 10,000 |
post_id | 46,647,258 |
net_rshares | 0 |
사회와 닮아 있다는 말이 인센티브에 반응한다는 말과 닿아 있는 것 같습니다. 암호화폐를 통해 인센티브에 움직이는 특성에 더 다가가면서 해결책을 찾고 있는 과정이구요. 과거의 인센티브에 대한 부정적인 프레임을 없애고, 서로의 인센티브를 인정하면서 생산적인 토의를 할 수 있어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author | learntorun |
---|---|
permlink | re-ssin-re-learntorun-5eiaf8-20180326t131231589z |
category | coinkorea |
json_metadata | {"tags":["coinkorea"],"app":"steemit/0.1"} |
created | 2018-03-26 13:12:42 |
last_update | 2018-03-26 13:12:42 |
depth | 2 |
children | 0 |
last_payout | 2018-04-02 13:12:42 |
cashout_time | 1969-12-31 23:59:59 |
total_payout_value | 0.000 HBD |
curator_payout_value | 0.000 HBD |
pending_payout_value | 0.000 HBD |
promoted | 0.000 HBD |
body_length | 166 |
author_reputation | 317,544,809,155 |
root_title | "스팀잇 최근 논란에 대한 생각 - 자본주의 불평등에 대한 트라우마" |
beneficiaries | [] |
max_accepted_payout | 1,000,000.000 HBD |
percent_hbd | 10,000 |
post_id | 46,693,097 |
net_rshares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