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eate account

투자는 페인트가 마르길 지켜보는 것과 같다 by pius.pius

View this thread on: hive.blogpeakd.comecency.com
· @pius.pius ·
$8.26
투자는 페인트가 마르길 지켜보는 것과 같다
5월 말 S&P 500 지수는 18개월 전 수준으로 마쳤다. 물론, 시장에서 이런 일은 언제나 일어난다. 하지만 우리는 이렇게 계좌 수익률이 1년 반 동안 전혀 증가하지 않는 모습을 볼 때마다 감정적으로 불안감을 느낀다. 투자란 종종 페인트가 마르길 지켜보는 것과 비슷하다. 페인트가 마르는 모습은 눈에 확 들어오지 않지만, 결국 시간이 흐르면 다 마르기 마련이다.​

1926년 1월 이후 S&P 500 지수의 18개월 수익률을 살펴보면, 1,104차례에 걸쳐 평균 11.6%였고, 가장 높았을 경우(1933년 12월) 83.9%였으며, 가장 낮았을 경우(1932년 5월) -55.3%였다. 이 기간 중 약 21%에서 18개월 수익률은 마이너스였으며, 4% 이하였던 기간이 27%였다.​

대공황 시대가 수치를 왜곡시켰을 수도 있으므로, 1945년 1월 이후 18개월 수익률을 살펴보았다. 이 기간 동안 893차례의 18개월 수익률은 평균 12.2%였으며, 가장 높았을 경우(1955년 7월) 47.4%였고, 가장 낮았을 경우(2009년 2월) -35.6%였다. 16% 기간에서 18개월 수익률이 마이너스였고, 4% 이하였던 기간은 24%였다.​

미국 주식 시장이 18개월을 기준으로 4차례 중 1차례에서 횡보하거나 하락했다는 의미다. 최근 사례를 살펴보자.​

S&P 500 지수는 5월 말 기준 2018년 초와 같은 수준으로 마감했다. 이 기간 동안 페인트가 마르기를 기다리면서 상당한 변동성을 경험했을 것이다. 지수는 2018년 1월 1일부터 2018년 9월 20일까지 8.99% 상승했다. 여기에는 2월 초 시장이 드라마틱 하게 10% 하락한 것이 포함되어 있다. 이후 지수는 9월 30일부터 크리스마스이브까지 -19.3% 하락했다. 그 이후로 지수는 다시 17.25%나 상승했다. 그렇다. 2019년 5월 말 S&P 500 지수는 2018년 1월 수준으로 마감했지만, 그 과정은 롤러코스터를 탄 모습이었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WNmZrNxZ3UUUDqGrAicSm2vW1tz166USkysmVJMnLhTT/image.png)


지난해의 경우, 가을의 변동성으로 인해 2017년 6월과 거의 같은 수준으로 한 해를 마감했다. 2018년 9 월 30일 20%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나타난 결과다. 아래 차트를 보면 2018년 2 월 초 10% 하락을 분명하게 볼 수 있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a6Lss1wVEGo1wT4Q764Z5axVWQmnX3m7wgC6ht3LqsWY/image.png)


2014년 8월에서 2016년 2월 사이 18개월은 어땠을까? 이 기간 동안 S&P 500 지수는 -3.55% 하락했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XfDukBUvCztobF9qAuCHjAQ8oyhnGvxKLq8DFLHtEJfM/image.png)


그리고 2014년 8월 이후 S&P 500 지수는 세 차례 급락을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거의 38%나 상승했다. 여기에는 지수가 1% 이상 하락한 적이 없었고, 19.42%나 상승했던 2017년이 포함되어 있다.

![](https://cdn.steemitimages.com/DQmXiGD9Ccw9BAz1JrVQc1k7Q3V4BhxDMt3CBBicV22R6AT/image.png)


투자 수익률 분석은 언제를 시작일과 종료일로 잡느냐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우리 모두는 포트폴리오의 수익률이 최고일 때를 기준으로 미래 수익률을 바라보는 앵커링 편향에 빠지는 경향이 있다. 시장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기까지는 때로 몇 개월 또는 몇 년이 걸리기도 한다. 그리고 투자자가 시장에서 빠져나오고 나면, 사상 최고치는 더 이상 의미가 없게 된다.​

페인트가 마르기까지 기다려야 하는 궁극적인 사례가 바로 애플이다. 애플의 주가는 1983년 4월부터 30년이 지날 때까지 거의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물론 그 과정에서 56:1의 주식 분할이 있었다.​

장기 투자는 지루하지만, 동시에 스릴이 넘치기도 한다. 또한 오랜 기간 계좌 수익률이 변변치 못할 수도 있다. 그렇게 되면 미칠듯한 좌절을 느낄 수 있다. 어렵게 저축하고 투자한 돈이 놀고 있는 모습을 볼 때는 더 그렇다. 누구도 미래를 내다볼 수 없기 때문에 시장의 상승과 하락 타이밍을 잡으려고 애쓸수록 실수를 저지를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

텍사스에는 "날씨가 마음에 들지 않더라도 잠시 기다려 보라"라는 말이 있다. 장기 투자자들에게도 해당하는 말이다. 수익률이 마음에 들지 않더라도 잠시 더 기다려야 한다. 때로는 이 '잠시'가 몇 년이 될 수 있지만, 시장에 남아있게 되면 엄청난 보상이 돌아오게 마련이다.​

자료 출처: The Bell Curve, "Watching Paint Dry"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nd 49 others
properties (23)
authorpius.pius
permlink6ep22e
categorykr
json_metadata{"tags":["kr","tooza","kr-economy"],"image":["https://cdn.steemitimages.com/DQmWNmZrNxZ3UUUDqGrAicSm2vW1tz166USkysmVJMnLhTT/image.png","https://cdn.steemitimages.com/DQma6Lss1wVEGo1wT4Q764Z5axVWQmnX3m7wgC6ht3LqsWY/image.png","https://cdn.steemitimages.com/DQmXfDukBUvCztobF9qAuCHjAQ8oyhnGvxKLq8DFLHtEJfM/image.png","https://cdn.steemitimages.com/DQmXiGD9Ccw9BAz1JrVQc1k7Q3V4BhxDMt3CBBicV22R6AT/image.png"],"app":"steemit/0.1","format":"markdown"}
created2019-06-16 01:14:48
last_update2019-06-16 01:14:48
depth0
children2
last_payout2019-06-23 01:14:48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6.278 HBD
curator_payout_value1.978 HBD
pending_payout_value0.000 HBD
promoted0.000 HBD
body_length2,379
author_reputation173,236,375,421,889
root_title"투자는 페인트가 마르길 지켜보는 것과 같다"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HBD
percent_hbd10,000
post_id86,701,827
net_rshares14,375,918,918,471
author_curate_reward""
vote details (113)
@realprince ·
아. 너무나 좋은 글이네요. 잘 읽었습니다. ^^
properties (22)
authorrealprince
permlinkpt66ly
categorykr
json_metadata{"tags":["kr"],"app":"steemit/0.1"}
created2019-06-16 02:22:48
last_update2019-06-16 02:22:48
depth1
children0
last_payout2019-06-23 02:22:48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00 HBD
curator_payout_value0.000 HBD
pending_payout_value0.000 HBD
promoted0.000 HBD
body_length27
author_reputation72,107,149,318,882
root_title"투자는 페인트가 마르길 지켜보는 것과 같다"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HBD
percent_hbd10,000
post_id86,702,993
net_rshares0
@steemitboard ·
Congratulations @pius.pius! You have completed the following achievement on the Steem blockchain and have been rewarded with new badge(s) :

<table><tr><td><img src="https://steemitimages.com/60x70/http://steemitboard.com/@pius.pius/payout.png?201906161507"></td><td>You received more than 9000 as payout for your posts. Your next target is to reach a total payout of 10000</td></tr>
</table>

<sub>_You can view [your badges on your Steem Board](https://steemitboard.com/@pius.pius) and compare to others on the [Steem Ranking](https://steemitboard.com/ranking/index.php?name=pius.pius)_</sub>
<sub>_If you no longer want to receive notifications, reply to this comment with the word_ `STOP`</sub>


To support your work, I also upvoted your post!


###### [Vote for @Steemitboard as a witness](https://v2.steemconnect.com/sign/account-witness-vote?witness=steemitboard&approve=1) to get one more award and increased upvotes!
properties (22)
authorsteemitboard
permlinksteemitboard-notify-piuspius-20190616t170644000z
categorykr
json_metadata{"image":["https://steemitboard.com/img/notify.png"]}
created2019-06-16 17:06:42
last_update2019-06-16 17:06:42
depth1
children0
last_payout2019-06-23 17:06:42
cashout_time1969-12-31 23:59:59
total_payout_value0.000 HBD
curator_payout_value0.000 HBD
pending_payout_value0.000 HBD
promoted0.000 HBD
body_length926
author_reputation38,975,615,169,260
root_title"투자는 페인트가 마르길 지켜보는 것과 같다"
beneficiaries[]
max_accepted_payout1,000,000.000 HBD
percent_hbd10,000
post_id86,732,269
net_rshares0